반응형
앰프는 영어의 Amplifier에서 나온 말입니다. Amplifier : 증폭하다. 라는 뜻이지요. 크게 키운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무엇을 증폭할 까요? 바로 소리(오디오:audio)입니다. 즉 작은 소리를 크게 키우는 것이 오디오 앰프가 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음악을 들을 때 뭘 통해서 들을까요? 네, 스피커입니다. 스피커의 동작 원리는 간단합니다. 종이판을 올려서 공기의 진동을 만드는 것입니다. 종이판을 울리기 위해서는 스피커에 전기를 흘려 줘야 합니다. 자세히 말하자면 금속 코일에 전기를 흘려서 그 안의 자석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죠. 흐르는 전기를 우리는 전류라고 합니다. 우리는 전류를 가지고 어떤 일을 할 수가 있습니다. 꼬마 전구에 밧데리를 연결하면 불이 들어오는 원리죠. 마찬가지로 스피커에 전류를 흘려서 공기 진동을 만들고 이는 소리로 전달 됩니다.
자, 그러면 스피커에 전류를 흘려 주면 소리가 나는건 알겠는데, 어느 정도의 전류를 흘려 줘야 할까요? 결론 부터 말하자면 꽤 큰 전류를 흘려 줘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구할 수 있는 1.5V 건전지 같은 것으로는 택도 없지요. 그렇기 때문에 작은 전류를 크게 만들어주는 앰프가 필요한 것입니다.
반응형
'Electronic Craft > DIY A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부품 (0) | 2017.12.04 |
---|---|
초간단 전기이론 (0) | 2017.11.25 |
우리가 음악을 듣는 방법 (0) | 2017.11.17 |
DIY Audio 의 시작 (0) | 2017.11.16 |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툴 소개 (9) | 2017.04.13 |